영어문법 - 화법 주어ㆍ동사의 일치동사가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서 일정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. 주어가 복수이면 복수동사로, 단수이면 단수동사로 받는 것이 원칙이지만, 주어의 형태에 따르지 않고 의미에 따라서 단수동사ㆍ복수동사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.A and B either A or B (A든 B든 둘 중 하나 : 양자택일)Neither A nor B (A도 B도 ~아니다 : 양자부정)not only A but also B (A 뿐만 아니라 B 도)B as well as A (A 뿐만 아니라 B 도)주어ㆍ동사의 일치 예외 half of, most of, the rest of 다음에 오는 명사가 복수이면 복수동사로, 단수이면 단수동사로 받는다. 학과명ㆍ복수형 국가명을 비롯해 시간ㆍ거리ㆍ무게ㆍ금액 등이 하나의 단일 .. 더보기 이전 1 ··· 12 13 14 15 16 17 18 ··· 69 다음